티스토리 뷰
양주의 대명사 위스키
저는 술에 대해서 관심이 많습니다. 비록 많이 마시지는 못하지만, 적절한 음식에 맛있는 술은 정말 금상첨화라고 할 만큼 우리에게 행복감을 줍니다. 지난번에는 막걸리와 맥주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오늘은 위스키의 역사와 분류에 대해서 말해볼까 합니다.
위스키의 역사
위스키는 스코틀랜드에서 유래한 증류주로써, 대표적인 양주 종류입니다. 값은 맥주나 소주보다는 비싼 편입니다. 그래서 서민의 술보다는 드라마에서 상류층들의 모임에 많이 등장하는 술이 바로 위스키입니다. 위스키는 특유의 향과 맛이 강한 것이 특징이고 이를 위해 만드는 방법이 매우 까다롭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위스키는 앞서 말했듯이 스코틀랜드의 전통주로 보리를 발효시켜 알코올을 추출한 다음 투명한 상태의 술을 원액 그대로 마시는 것에서 유래가 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추출 직후의 도수는 75도로 막걸리나 맥주에 비하면 상당히 높은 도수를 나타냅니다. 18세기 이후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전쟁에서 잉글랜드가 승리하며 위스키는 퍼져나가게 됐습니다. 위스키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다양한 나라에서 제조가 되는데, 미국이나 아일랜드의 위스키는 호밀과 옥수수를 사용해 북미에서 만드는 위스키와 구분합니다. 하지만, 현재 유통되는 80%의 위스키는 여전히 스코틀랜드 산으로 스코틀랜드에서 생산하는 위스키의 명성이 굳건하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위스키의 제조법
위스키의 제조법을 자세히 살펴보면, 보리를 발효시켜 보리술을 만든 다음 보리술을 증류시켜 오크통에서 수년간 숙성을 시킵니다. 그러면 오크통 안의 향이 베어 특유의 맛과 향이 나게 됩니다.
위스키의 맥주와 다른 특징은 제조시 홉을 넣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만든 위스키는 75도가 직후 도수이지만, 대부분 40~43도로 도수가 술 중 높은 편입니다.
현대에서는 보리뿐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사용합니다. 옥수수, 귀리, 일등을 사용해 만들기도 합니다. 또한, 과일을 사용한 경우도 있습니다. 바나나 혹은 딸기 같은 새콤달콤한 과일을 이용해 위스키를 제조하기도 하는데, 이는 전통적인 위스키 방식과 달라 아직 위스키라고 인정받지는 않고 있습니다.
위스키의 분류
위스키의 분류는 생산지와 재료에 따라 크게 구분합니다. 생산지와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특징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에 설명드리겠습니다.
생산지에 따른 분류
생산지에 따라서는 스카치위스키, 캐나디안 위스키, 아이리시 위스키, 아메리칸 위스키로 분류하는데 다양한 지역의 위스키가 많지만 이 4가지 지역의 위스키를 4대 위스키라고 분류합니다.
스카치위스키는 스코틀랜드에서 생산된 위스키로 3년 이상 숙성해야만 위스키로 인정해 줍니다. 첨가물로써는 물과 색소만 사용하기 때문에 깔끔한 것이 특징입니다.
캐나디안 위스키는 미국과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지기 시작해 미국의 금주법 시행 시 크게 성장했습니다. 호밀을 사용한 것이 비중이 높습니다.
아이리시 위스키는 아일랜드에서 만들어져 단식 증류기를 통해 만들어지는 기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볍고 부드러운 맛이 특징입니다.
아메리칸 위스키는 미국에서 만들어진 위스키로 아직까지 사랑받는 위스키 중 하나입니다.
재료에 따른 분류
위스키는 다소 맛과 향이 강하기 때문에 어느 재료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특성이 강합니다.
위스키의 재료에 따라 몰트 위스키, 그레인위스키, 블렌디드 위스키로 나뉩니다.
몰트 위스키는 발아한 보리를 위용해 만든 위스키입니다. 몰트 위스키를 세세하게 분류하면 싱글몰트, 블렌디드 몰트가 있습니다.
그레인위스키는 보리를 제외한 다른 곡물로 술을 제조한 것으로 보리를 아예 쓰지 않는 것은 아니고 몰트 효소를 이용해 당화 시키기 때문에 보리의 함량이 몰트 위스키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블렌디드 위스키는 현대 위스키로 분류되며 몰트 위스키와 그레인위스키를 섞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블렌디드 위스키의 배합비는 기업 비밀이기 때문에 위스키 회사별로 다양한 맛과 향이 특징입니다. 또, 블렌딩 해 품질유지 기한이 큰 것 도 큰 특징입니다.
오늘은 위스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더 많은 종류가 있고 세세하게 분류할 수 있지만 오늘은 큰 틀로 알려드렸습니다. 다음번에는 위스키의 종류에 대해서 더 자세하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음식이야기 > 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볼 어떻게 먹어야 맛있을까? (0) | 2022.05.10 |
---|---|
칵테일의 역사와 종류 (0) | 2022.04.29 |
보드카에 대하여 (0) | 2022.04.28 |
한국의 술 막걸리 (0) | 2022.04.27 |
맥주의 종류-라거와 에일 (0) | 2022.04.26 |